life is egg
22.11.08 [파이썬 기본 문법] 본문
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 내용..
왜 파이썬을 공부 해주냐.... 코테를 그나마 쉽게 통과 하기 위해서...
더보기
파이썬...
읽기 쉬운 언어 / 직관적../ 오픈소스가 많다/커뮤니티가 많아..
조언 ..이있었다면... 그런 개념이 있었지 ..~ 정도만 알고 있으면 나머지는 사용할때 검색을 써서 사용
사칙연산 .. 그냥 됨 ..
문자열 은 작은 따음표를 쓰시죠
2^3승 표현 2**3
변수에 참 거짓 담기..
a = (3 <2)
print(a) //이러면... False가 나온다 ..!
변수는..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값을 지칭하는 것이다..!
자료형으로 감싸주면 강제 형변환 가능하다..
> b = str(2) b는 문자열 2 를 가르키는게 된다
기본 문자열 다루기..
text = 'abcdefg'
result = len(text) #문자열 길이 카운트
result = text[:] #복사
result = text[:3] #앞에서 3개까지 짜르기
result = text[3:] #앞에서 3개까지 짜르고 뒤에를 보여줘
result = text[3:4] #범위 정해서 짜르기...
#문자열 추출
myemail = '1wo2gur@naver.com'
cut = myemail.split('@') # @ 기준으로 [1wo2gur , naver.com]을 나눠줌
cut2 = myeamil.split('@')[1].split(.)[0] # naver 추출...
리스트(list) , 딕셔너리(dictionary)
둘 다 값을 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..
리스트는 순서가... 중요하게 담는것... 0번째 부터 시작
a = [1, 5, 2]
b = [3, "a", 6, 1]
c = []
d = list()
e = [1, 2, 4, [2, 3, 4]]
#리스트 길이측정
a = [1, 5, 2]
print(len(a)) # 3
b = [1, 3, [2, 0], 1]
print(len(b)) # 4
#인덱싱과 슬라이싱 가능
a = [1, 3, 2, 4]
print(a[3]) # 4
print(a[1:3]) # [3, 2]
print(a[-1]) # 4 (맨 마지막 것)
#리스트 중첩가능
a = [1, 2, [2, 3], 0]
print(a[2]) # [2, 3]
print(a[2][0]) # 2
#리스트 추가하기
a = [1, 2, 3]
a.append(5)
print(a) # [1, 2, 3, 5]
a.append([1, 2])
print(a) # [1, 2, 3, 5, [1, 2]]
# 더하기 연산과 비교!
a += [2, 7]
print(a) # [1, 2, 3, 5, [1, 2], 2, 7]
#정렬하기
a = [2, 5, 3]
a.sort()
print(a) # [2, 3, 5]
a.sort(reverse=True)
print(a) # [5, 3, 2]
#값이 리스트 안에 있는지 확인하기
a = [2, 1, 4, "2", 6]
print(1 in a) # True
print("1" in a) # False
print(0 not in a) # True
딕셔너리
키 : 벨류 로 구성
리스트안에 딕셔너리가 순차적으로 들어가 있는게... 가장 기본이 된다..!
a = {"one":1, "two":2}
# 빈 딕셔너리 만들기
a = {}
a = dict()
# 값추가 or 업데이트 가능
person = {"name":"Bob", "age": 21}
person["name"] = "Robert"
print(person) # {'name': 'Robert', 'age': 21}
person["height"] = 174.8
print(person) # {'name': 'Robert', 'age': 21, 'height': 174.8}
#딕셔너리안에 해당 키가 존재하는지 알고 싶을 때..! 키값임!
person = {"name":"Bob", "age": 21}
print("name" in person) # True
print("email" in person) # False
print("phone" not in person) # True
#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조합
people = [{'name': 'bob', 'age': 20}, {'name': 'carry', 'age': 38}]
# people[0]['name']의 값은? 'bob'
# people[1]['name']의 값은? 'carry'
person = {'name': 'john', 'age': 7}
people.append(person)
# people의 값은? [{'name':'bob','age':20}, {'name':'carry','age':38}, {'name':'john','age':7}]
# people[2]['name']의 값은? 'john'
조건문
if / elif /else
if 조건 :
~~
else :
~~
반복문
리스트 = []
for 변수 in 리스트:
print(변수) #이거하면 리스트에 있는 값 하나씩 출력해줌
for( ; ; )
enumerate : 값의 순서를 매겨줌
break : 반복문 빠져나오기
Q. 리스트 안에 있는 자연수 중 가장 큰 숫자 구하기
num_list = [1, 2, 3, 6, 3, 2, 4, 5, 6, 2, 4]
big = 0
for a in num_list :
if a>big :
big = a
print(big)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.11.10 [자료구조.. & python] (0) | 2022.11.10 |
---|---|
22.11.09 [파이썬기본문법 2 & 알고리즘] (0) | 2022.11.10 |
22.11.07 [Java & intellij] (2) | 2022.11.08 |
22.11.04 [프로젝트 발표] (0) | 2022.11.04 |
22.11.03 [Restful 한 API..] (0) | 2022.11.03 |
Comments